서울신문
04.1.29자 기사중 "올 지방공무원 6500명 더 뽑기로"
제하의 기사내용을 다음과 같이 해명 합니다.
ㅇ
금년도 지방공무원 신규채용과 관련하여 일부 언론에서
지난해말 발표한 채용인원보다 한 달도 되지않아
갑자기 6,500명을 더 늘린 것은 총선을 앞둔 선심성 정책이라는
보도내용에 대한 해명자료 입니다.
ㅇ
행정자치부는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있는 청년실업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단위별로 공공부문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지방공무원의 충원을 확대할 방침에 있습니다.
ㅇ
이번 행자부의 충원확대방침에 의한 충원규모는 지난해말
시도로부터 파악한 10,892명과 지난 1.27
시도로부터 추가 파악한 1,517명을 포함한 12,409명으로
이에 대해서는 조속한 시기내 채용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지방자치단체에서
표준정원제에 의한 내년도 보정정원을 고려한 추가충원
요구인력이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채용계획을 수립, 시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ㅇ
따라서, 일부언론에서 보도한 "내년도 채용대상 5,000명
가량을 앞당겨 갑자기 6,500명으로 더 늘리려는
것은 총선을 앞둔 선심성 정책"이라는 내용의 보도는
행정자치부의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지방공무원
충원방침에도 맞지 않으며 또한 내년도 채용대상 5,000명이란
인원도 확인되지 않은 인원임을
밝혀 둡니다.
ㅇ
따라서, 지방공무원의 충원확대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단위
차원의 청년실업을 해소하기 위해 9급 등
하위직을 중심으로 기술직과 여성공무원에게 일자리 기회를
확대하고, 새로운 행정수요인 문화, 관광,
사회복지시설, 방재인력 등의 분야에 대해 자체판단에 의한
필요인력에 대해서만 충원토록 하는
것이 행자부의 기본방침임을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