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직 공무원시험 ‘면접만 남았다’

제주 4월 19일 포문…서울 6월 8일까지 사회복지 관련 이슈·지역 현안 숙지해야 올 사회복지직 공무원 필기시험 결과가 각 지방자치단체 별로 속속 발표되고 있는 가운데 수험생들은 마지막 관문인 면접시험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합격자 발표와 마찬가지로 면접시험도 지자체 마다 별도의 일정으로 진행되므로 수 험생들은 자신이 지원한 지역의 일정을 반드시 숙지해 둬야 한다. 가장 먼저 면접시험 일정을 진행하는 지역은 제주다. △제주는 오는 19일 면접시험 을 치르고 5월 6일 최종합격자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4월 중에 면접시험을 치르는 지역은 △전북 4월 27~28일 면접, 5월 10일 발표 △강 원 4월 27일 면접, 5월 13일 발표 △경북 4월 27일~28일 면접, 5월 19일 발표 △부산 4월 28~29일 면접, 5월 6일 발표 등이다. ▲ 사회복지직 면접시험 일정이 오는 19일 제주를 시작으로 6월 8일 서울까지 이어진 다. 5월에도 면접시험이 이어진다. △인천의 경우 5월 2일부터 6일까지 각 군·구별로 면 접을 진행한다. 계양구와 서구 5월 2일, 동구와 연수구, 부평구 3일, 남동구 4일, 중 구, 남구 5월 6일 등으로 면접시험이 예정돼 있으며 최종합격자는 5월 18일 발표된 다. 이 외에 △경남 5월 1일 면접, 5월 15일 발표 △전남 5월 3일 면접, 5월 18일 발표 △ 울산 5월 3일 면접, 5월 18일 발표 △대전 5월 10일 면접, 5월 26일 발표 △충북 5월 10~12일 면접, 5월 26일 발표 △대구 5월 10~12일 면접, 5월 19일 발표 △충남 5월 12~13일 면접, 5월 27일 발표 △광주 5월 19일 면접, 5월 27일 발표로 면접 일정이 시행된다. 가장 마지막으로 면접일정을 치르는 지역은 △서울로 5월 30일부터 6월 8일까지 면 접시험을 시행하고 6월 15일 최종합격자 명단을 공개할 계획이다. 지난해 사회복지직 면접시험은 집단토론을 도입한 대구시 외 대부분 지자체에서 예 년과 같이 면접관 3명을 두고 사전조사서를 중심으로 하는 개별 면접으로 이뤄졌다. 면접시험을 치른 응시생들은 평이했다는 반응과 압박이 있었다는 상반된 반응으로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응시생이 타 지역에 비해 많은 경기도의 경우 전년도에 비해 압박질문이 많았 다는 후문이다. 응시생의 인성을 검증하는 질문과 함께 사회복지 정책 등에 관한 질 문도 다수 나왔다는 것이 응시생들의 설명이다. 20분의 면접시간은 초시계를 이용 할 정도로 정확하게 측정됐으며 시간이 한정돼 있는 만큼 장황한 대답보다 짧고 간 결한 대답을 요구하는 경향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면접시험에서 제시된 질문들을 살펴보면 △자신의 좌우명과 복지의 연계성 △복지 사각지대 해결 방안 △지역 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직장을 가만 둔 이유 와 사회복지직에 지원한 동기 △노인복지정책 및 수급 노인 규모 △공무원행동강령 △장애등급 폐지에 대한 견해 △살면서 자랑스러웠던 경험 △봉사활동 경험 △지역 현안 △무상급식의 장단점 등에 관한 질문이 나왔다. 이처럼 지역 현안이나 시사성 높은 사회복지 정책에 대한 문제들도 나왔지만 대부분 의 질문은 자기소개서를 기초로 진행됐다는 것이 응시생들의 전언이다. 다른 지자체의 면접시험도 경기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아동복지정책 △지역 인 구 수 △지역 내 기초수급자 수 △사회복지직에 지원한 이유 △봉사활동 실적 △감 명 깊게 읽은 책 △선별적·보편적 복지의 문제점 △악선 민원인 대처법 등의 질문이 제시됐다. 최근 공무원시험은 전반적으로 면접시험을 강화하는 기조를 나타내고 있다. 사회복 지직 면접시험도 강도 높은 압박과 심층적인 질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 라 사회복지에 관한 이슈와 자신이 지원한 지역의 사회복지 현황 및 관련 정책 등에 대해서도 미리 숙지해 둘 필요가 있다.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도 자신의 장점과 경 험 등을 사회복지직 공무원으로서의 역량과 연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도움 이 된다. [출처] 법률저널
이전페이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