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리직 공무원시험 접수 시작! 오는 11일까지
가산점 적용 및 거주지제한 등 확인
향후 채용 ‘미지수’…올 총력 기울여야
올 계리직 공채 시험 원서접수가 시작됐다. 계리직 시험은 강원, 경북, 경인, 부산,
서울, 전남, 전북, 제주, 충청 등 9개 지방우정청에서 진행되며 원서접수는 7일부터
11일까지 각 우정청별 홈페이지에 하면 된다.
우정청별 거주지제한 요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응시예정자들은 접수할 시 반드시 기
관이 정한 거주지제한 요건을 재확인을 한 후 응시가부를 판단해야 한다.
먼저 강원, 전북, 제주 등 3개 기관(우정청)은 시험공고일이었던 3월 7일 현재 해당
도에 주민등록이 돼 있는자에 한해 접수가 가능하다.
경인, 서울 등 2개 기관(우정청)은 시험공고일이었던 3월 7일 현재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돼 있는 자에 한하며, 부산우정청은 부산시, 울산시, 경남도
에, 충청우정청은 대전시, 세종시, 충남‧북도에, 전남우정청은 광주광역시, 전남도
에 주민등록이 돼 있던 자에 한한다.
경북우정청의 경우 올 계리직에서 대구, 경북동부, 경북북부, 경북중부, 울릉군 등 4
개 지역서 선발이 이뤄지며, 모집단위(지역)별 해당 시군(장애 및 저소득모집은
시‧도)에 주민등록 돼 있어야 지원이 가능하다.
가령, 경북동부 지역에 응시하려면 기관이 정한 포항시, 경주시, 울진군, 영덕군 등
시군에 거주한 자만이 시험을 치를 수 있는 것이다. 해당 시군 및 시도는 공고문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또한 올 계리직 시험에서는 취업지원대상자 외 정보화자격증 소지자에 한해 0.5%
~1% 가산 혜택이 적용된다. 가산 혜택을 받으려면 필기시험 전일(7월 22일)까지 요
건을 갖춘 후 필기시험 당일 답안지에다가 자격증 정보를 표기하면 된다.
계리직 시험은 지난 2008년 처음 진행한데 이어 2010년, 2012년, 2014년 매해 격년으
로 뽑아왔고 2016년 올해 5번째 시험을 맞게 됐다. 그간 기능직(계리직) 10급으로 선
발한 계리직은 2014년 기능직(계리직) 9급으로 승격됐고 2014년 초 정부 기능직 폐
지안 시행에 따라 2016년에는 우정 9급으로 개선돼 선발이 이뤄지게 됐다.
계리직 시험은 한국사, 우편 및 금융상식, 컴퓨터일반 등 3과목을 치른다. 시험과목
이 일반직 9급보다 2과목이 적고 영어를 보지 않아 일반직 공무원시험보다 진입 장
벽이 낮은 편이다. 이에 기존 계리직 수험생 뿐 아니라 직장인, 주부 등 중년층의 도
전과 일반직에서 빛을 보지 못한 장수생들의 지원도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창구업무 등을 주로 하는 계리직 공무원 업무 특성상 여성 지원이 70%이상 차지하
고 있으며 3과목만 치러 실강보다 인강 의존도가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필기공
부를 하러온 수험생보다 계리직 면접 특강으로 학원을 찾는 이가 더 많다는 후문이
다.
경쟁률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난 2014년(일반모집)에는 모든 기관에서 100
대 1 이상 경쟁률을 기록했다. 장애, 저소득 모집도 50대 1~100대 1이상 경쟁률을 보
이고 있다. 서울우정청의 경우 지난 시험에서 장애모집 경쟁률이 163대 1로 최고치
를 보였다.
공무원시험 인기가 예년보다 훨씬 높아졌고 선발인원은 줄어든 반면 틈새직렬로 계
리직 시험에 관심을 보이는 수험생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올 계리직 시험 경쟁률은
역대급을 찍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한 우정사업본부가 향후 계리직 시험에 대해 2017년 이후에는 최소인원을 뽑거나
실시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혀 사실상 올 시험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실력자들의
응시가 대거 이뤄져 합격선도 높게 나타날 것이라는 게 수험가의 분위기다.
한편 계리직 시험은 2010년 7월, 2012년 3월, 2014년 2월에 실시됐고 올해는 7월에
실시(7월 23일)된다.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 등 굵직한 시험이 끝난 후에 진행되기
때문에 일반직 수험생 중 적잖은 수가 계리직 시험에 응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법률저널
이전페이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