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8명 '공무원'으로 직업 전환 원해
사람인, 직장인 1224명 대상 조사결과 80.1% '공무원으로 직업 전환 의향 있다'
직장인 10명 중 8명은 공무원으로 직업을 전환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사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1224명을 대상으로 '현
재 회사를 그만두고 공무원으로 직업을 전환할 의향'을 조사한 결과 80.1%가 있다
고 대답했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85%로 남성 77.5%보다 응답률이 높았다.
공무원으로 직업을 전환하려는 이유로는 '평생직장으로 삼을 수 있어서'(69.7%, 복
수응답)이 가장 첫 번째였다. 다음으로 '연금 등 노후보장이 되어서'(52.8%), '오래
일할 수 있어서'(42.5%), '출산 등 경력단절 이후를 대비해서'(17%), '현재 직업이 적
성에 안 맞아서'(16.2%)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직장인들은 현재 직업이 본인의 적성에 얼마나 부합하는지에 대해 '약간 부
합'(53.9%), '거의 부합하지 않음'(22.5%), '상당히 부합'(16.7%), '전혀 부합하지 않
음'(6.9%) 순으로 답했다.
재직 직장에 대한 고용 불안감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이 '심각한 수준'(40.8%)
이라는 응답이 '거의 없는 수준'(15.7%)보다 2배 이상 많았다.
10명 중 2명은 현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었다. 전체 응답자의 23.9%가 현재 공
무원 시험 준비 중이었다.
목표는 71.9%(복수응답)가 9급이라고 밝혔고, 뒤이어 7급(16.4%), 기능직(10급)
(9.2%) 등의 순이었다.
시험 준비는 주로 온라인 강의(49.3%) 또는 독학(45.9%)으로 하고 있었다. 이밖에
사설 학원(1.7%), 스터디 그룹(1%)을 통해서 준비한다는 응답도 있었다.
공부 시간은 하루 평균 2.6시간이었다. 월 평균 수험비용은 평균 21만원으로 집계되
었다.
지금까지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 기간은 평균 8개월이었으며, 최대 얼마나 준비할지
에 대해서는 평균 2.4년이라고 응답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막연한 불안감으로 일단 시험 준비를 시작하는 것은 오히려
시간과 돈의 낭비로 이어질 확률이 크다"며 "역량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일 것인
지 공무원 시험을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아시아 경제
이전페이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