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대 일 9급 공무원 되기, 특성화고 학생은 학교 추천 받으면 한자리 수 경쟁률
수십대 일로 9급 공무원 되기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은 학교 추
천을 받는 경우 경쟁률이 한 자리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정부와 교육계 등에 따르면 2015년 특성화고 학생이 주로 선발되는 국가직 지역
인재 9급 공무원 선발시험의 경쟁률이 7.2대 1로 수십대 일 경쟁률을 보이고 있는 일
반직 9급 공무원 시험에 비해 경쟁률이 낮았다.
정부는 2012년부터 고졸 취업 확대 등의 일환으로 전국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
대 학생을 채용하는 국가직 지역인재 9급 공무원 선발시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가직 지역인재 9급 공무원 선발시험은 행정 분야에서는 특성화고 출신을 전원 선
발하고 기술, 우정 분야는 특성화고 50%... 절반 이상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
으로 선발하게 돼 있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의 선발 비중이 80%에 이르는 것
으로 알려졌다.
선발 인원은 2012년 100명부터 시작해 올해는 160명까지 늘어 9급 공무원의 3.7%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 균형선발을 위해 특정 시·도의 합격자 수가 20%를 넘을
수 없는 규정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올해 선발 인원은 지난해보다 10명이 늘었다.
개인이 원서 접수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학교에서 학과 성적 상위 30% 이내 등
요건이 있는 학생이 5명까지 응시할 수 있다.
일반 9급 공무원 시험이 공개채용이라면 국가직 지역인재 9급 공무원은 학교 추천
을 받아야 응시할 수 있는 경력채용 성격의 시험이라는 점이 다르다.
추천을 받는 제도가 없을 경우 다양한 분야로의 진출이 위축돼 공무원시험에 몰두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조치다.
학비가 들지 않고 취업이 보장되는 마이스터고에 학업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많
이 몰리고 특성화고도 수준이 다양하지만 각 학교에 모두 동등하게 5명의 추천권을
주고 있다.
공무원직에 대한 선호가 커지면서 대학 재학생이나 졸업생이 9급 시험에 응시하고
있는 가운데 학교 생활에 충실한 특성화고 학생들이라면 학교 추천을 받을 경우 일
반 9급 공무원 공채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공무원이 될 수 있는 길이 열려 있
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충실하게 교육을 받다가 학교 권유를 받아 지원하는 경우가 많은 것
으로 알고 있다”며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일찍부터 공무원이 되려고 한다면 특성화
고에 진학해 충실하게 학교 생활을 하는 경우 유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아주경제
이전페이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