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무원 34.1%가 여성…공무원 출산율 1.4, 일반인대비 0.16↑

공무원 평균자녀수 1.9명, 2명 자녀 있는 공무원 77.1%…출산 장려 인센티브 지원 지방공무원 3명 중 1명은 여성공무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9일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가 임산부의 날(10월10일)을 맞아 지방여성공무원과 관 련한 통계를 공개한 바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전국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은 총 10만150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공무원 29만 7316명의 34.1%로 전체 지방공무 원 3명 중 1명이 여성인 셈이다. 공무원의 합계출산율은 1.40로 전체 국민의 합계출산율인 1.24에 비해 높다. 자치단 체 전체 공무원의 평균자녀수는 1.90명이고, 시도별로는 제주도가 2.11명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전남(2.07명), 전북(2.05명)이 2.0명을 돌파했다. 지자체중에 서는 서울(1.80)이 가장 낮았다. 2명 이상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은 77.1%에 달해 첫째 자녀가 있는 경우, 대부분이 2 명 이상의 자녀를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3명 이상되는 다자녀공무원도 2만 3232명으로 전체의 12.1%를 차지했다. 가장 많은 자녀 수가 있는 공무원은 전남 진 도군에서 근무하고 있는 박모 주무관으로 10명의 자녀가 있는 다둥이 아빠다. 자치단체 전체 공무원 중 남성공무원은 84.1%가 결혼했고, 여성공무원의 경우 67.8%만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하지 않은 남성공무원이 15.9%인데 반해 결 혼하지 않은 여성공무원은 남성의 2배가 넘는 32.2%였다. 세종시 여성공무원의 경 우, 기혼비율 대비 미혼비율이 40.9%로 미혼여성 공무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울 산은 27.6%로 가장 낮았다. 연령별로는 20~30세까지의 미혼비율이 89.7%나 되어 대 부분의 공무원들은 30대 이후에 결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주요 출산장려 및 모성보호 관련정책을 △육 아휴직제도 △모성보호시간도입 △육아휴직에 따른 업무대행지정 △시간선택제 근 무전환 △특별휴가제도 △유연근무제도 등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자치단체별로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해 운영하 고 있는데, 17개 시도 가운데, 9개 시도에서 출산공무원 및 다자녀 공무원에게 인사 상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었다. 아이를 많이 낳으면 승진도 빨라지고, 희망보직을 우선 부여해 일과 가정이 양립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전남, 경기도는 각각 9개, 11개 시,군,구에서 출산공무원 및 다자녀공무원에 대해 0.2 점~2점 이내 근무성적 가점을 부여하고 있다. 용산구는 승진인원의 20%범위 내에 서 3자녀 이상을 양육하고 있는 경우 승진우선 발탁하고 있으며, 이미 4명이 우대승 진했다. 전북도 3명 이상의 자녀를 둔 공무원에게 1~2점 가점제를 부여하고 있다. 대전시도 발탁승진과 모범공무원 추천 제도를 운영중이다. 충북의 경우, 도 전입시 험시 다자녀 공무원에게 가점을 부여하는 등의 우대조건이 있고, 제주도, 경남 창원 시, 김해시 등도 다자녀 공무원에게 특별승급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 시도에서 임신,출산 공무원에게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비상상황이나 당직근 무를 제외하고, 모성보호시간, 유연근무를 적극 활용하는 등 배려 정책을 도입하고 있었다. 자녀출산 시 17개 시도 모두 복지포인트를 추가로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청주시는 난임 직원을 위한 시술치료비를 30% 지원하던 것을 전액 지원한 다. 채홍호 행정자치부 자치제도정책관은 “저출산 문제가 국가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로 우려가 되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 선도적으로 저출산 해소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를 마련하고 있다”며 “이러한 정책이 확산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지속적 으로 출산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머니투데이
이전페이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