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5월 19일(월) 대통령 대국민 담화 후속조치 중 하나로 「재난안전통신 망 구축사업」을 조기 추진하기로 하고, 그 계획을 5월 27일(화) 발표했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은 여러 부처가 관련된 사업이므로 부처협업 과제로 추진해 나간다.
우선, 안전행정부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제시하는 차세대 기술방식에 따라 재난 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을 추진해 2017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정보화전 략계획(ISP)을 2014년 말까지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년에 일부지역을 대상으 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2016년에는 8개 시·도를 대상으로 사업을 확산하고, 최종 적으로 2017년 서울 경기 및 5대 광역시까지 확대해 단계별로 완료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차세대 기술방식의 재난안전통신망에 대한 기술검증을 올해 7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재난망에 필요한 37개 요구기능에 대한 기술을 검증하 고, 차세대 기술방식에 필요한 주파수 확보를 위한 전담 테스크포스팀도 구성·운영 한다.
기획재정부는 금년에 필요한 예산은 기정예산, 예비비 등을 통해 마련하고, 나 머지는 2015년도 예산에 반영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차세대 기술방식의 재난안전 통신망 구축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으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차세대 기술방식의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되기까지는 기존 무선통신망이 안정 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후 단말기(내구연한 9년) 교체, 소방·경찰 TETRA망 연 계 및 개방 등 보완대책도 동시에 추진할 예정이다.
참고로,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사업은 재난현장에서 기관 간의 일사불란한 지휘
와 협조체계의 확립이 가능하도록 주요 재난대응 기관들의 일원화된 무선통신망
을 구축하는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