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국가직 9급 공무원시험 \"대체로 평이\"
필수과목은 쉽고...선택과목은 다소 난해
응시생들 “국어, 영어 수능보다 쉬운 듯”
올 국가직 9급 공무원시험이 8일 전국 333개 고사장서 오전 10시부터 11시 40분까
지 일제히 치러진 결과, 응시자들은 대체로 평이했다는 반응을 내비쳤다.
국어, 영어, 한국사 등 필수과목은 생각보다 쉽게 나왔고 행정법, 행정학 등 선택과
목의 경우 난해한 문제가 몇몇 출제됐다는 게 응시자 다수의 의견이었다.
필수과목에서는 국어 한자문제가 조금 난해했지만 그 외에는 쉬웠다는 설명. 지난해
에도 필수과목은 대체로 무난했고 행정학 등 선택과목 난도가 높은 것으로 응시자들
은 평가한 바 있다. 올해도 응시자들은 지난해와 비슷한 반응을 나타낸 결과다.
특히 올해는 공부한 지 몇 달 안된 응시자들도 공부량대비 풀만했다는 생각이었고
20대 초반 대학생의 경우 국어, 영어는 수능보다 쉽다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기
존, 초시생들 모두 선택과목이 약간 지엽적으로 느낀면이 있긴 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는 풀만 했다는 데에 공감하는 모습이었다.
한 응시자는 "공부시작한지 얼마안됐다. 공무원시험은 이번이 처음인데 처음치고는
5과목 다 생각보다 괜찮았던 것 같다"라며 ""굳이 어려웠던 과목을 꼽으라면 국어라
고 생각하는데 국어도 한자빼고는 생각보다 훨씬 쉬웠기 때문에 무난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그와 함께 있었던 응시자 역시 국어 한문 문제가 많이 나
온 것 외에는 괜찮았다는 설명이었다.
다른 응시자는 "사람들이 공무원 영어가 어렵다고 하는데 공무원 영어는 접한지 얼
마안됐는데도 어렵게 느껴지지는 않았다"며 말문을 열었다. 수능본지 몇년 안돼서
그것과 비교해볼 때 수능 수준의 절반정도되는 것 같다는 게 그의 말이었다. 그만큼
생각보다 쉬웠다는 것. 그는 이어 "선택과목을 풀면서는 행정학에서 약간 난해하다
고 느끼기도 했는데 행정학을 대학교에서 1,2년 전공을 했던지라 남들보다 비교적
평이할게 볼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또다른 응시자는 "국어, 영어는 생각보다 쉬웠고 암기과목인 행정법, 행정학은 약간
난해했다"고 평가했다. 국어는 통찰, 화폐 등 독음 맞는 것을 고르라는 것 같은 한자
문제가 좀 나와 당황스러운 면이 있었으나 대체로 평이했고 특히 문법문제가 많이
안나왔고 나온 문제도 많이 쉬워서 문법 위주로 인강을 들었던 응시자들은 약간 아
쉬웠을 수도 있었을 거라고 생각했다.
한국사는 전근대사 말고 후반부인 근현대사가 많이 나왔는데 이 역시 공부한 기간치
고는 괜찮았다는 설명이다. 행정법과 행정학도 공부를 많이 안해서 약간 난해했다
고 느껴졌을 뿐, 문제 자체가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공부를 좀 더 하
면 점수가 잘 나올 것으로 봤다.
그는 이번 국가직 9급 시험에 대해 "9급도 고등학생들이 제법 보는 것으로 알고 있
다. 국어, 영어, 한국사가 수능보다 쉬웠기 때문에 인강보다 수능공부했던 어린학생
들이 다소 유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올해 두번째로 시험을 보는 한 응시자는 평이했으나 행정학은 약간 어려웠다는 의견
을 내비쳤다. 그는 "개인적으로는 전년대비 어려웠다. 항상 자신이 없는 편"이라
며 "필수과목은 괜찮았는데 행정학에서 좀 시간을 지체한 것 같다"고 전했다.
행정학에서 뒤에 나오는 파트가 있는데 그 후반부쪽에서 문제가 나왔다는 설명이
다. 정부조직, 김영란법 등에 대해서 나왔다는 것. 국어도 한자가 많이 나오긴 했지
만 어렵다고 느낄 정도는 아니었고 영어도 예년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했다.
올 국가직 9급시험은 4,910명 선발에 228,368명이 지원했다. 국가직 9급 최근 응시율
을 보면 통상 75%안팎으로 형성됐었다. 이번 국가직 9급을 본 한 응시자에 따르면
30명을 수용하는 교실에 10명이 결시했고 다른 응시자는 본인이 치른 교실은 9명이
결시했다는 설명이었다. 현장에서 본 응시율은 65~70% 수준이나 전체적으로 올해
도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응시율이 나온다면 지원자 중 실제 시험을 치른 수는 17
만여명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직 9급 시험은 취업지원대상자, 의사상자, 정보화자격증 소지자(워드, 컴활
등), 직렬별 가산대상 자격증소지자(통계직-사회조사분석사, 기술직-기사, 기능사
등)에 가산점이 적용돼 왔다. 하지만 인사혁신처는 이 중 올해부터 국가직 시험에 워
드, 컴활 등 정보화자격증 가산 혜택을 폐지했다. 지난해의 경우 필기합격자(5,652
명) 중 약 66.4%(3,753명)가 정보화자격증, 직렬별 가산대상 자격증 등 소지로 가산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필기합격자 10명 중 6~7명은 자격증으로 가산혜택을 받은 것. 올해는 특히 수험생
대부분이 소지한 정보화자격증의 가산 폐지에 따라 응시자 실력만으로 합격당락 가
능성이 더 높아져 합격선 등 합격자들의 동향이 어떻게 나타나질지 귀추가 주목된
다.
국가직 9급 필기합격자는 5월 24일 발표되고 합격자에 한해 7월 11일~16일 면접이
이어진다. 최종합격자는 8월 1일 확정된다. 단, 세무직, 교정직의 경우 면접은 해당
근무예정기관인 국세청, 법무부 주관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필기합
격자 발표일에 안내될 예정이다.
면접을 해당 근무예정기관에서 주관하며 필기합격자 발표 이후 면접, 최종합격자,
임용 등 일정이 타 직렬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직렬 응시예정자는 향후 일
정을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법률저널
이전페이지로